Monday, January 17, 2011

13 중도의 원리 a 초전법륜

13 중도의 원리 a 초전법륜初轉法輪

지금까지 이야기한 불생불멸이라든지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라든지 무애법계라고 하는 이론들을 불교에서는 중도법문中道法門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불교의 근본 사상입니다. 여기에서 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이러한 불생불멸의 뜻을 전하는 화엄 법화사상은 대승경전의 말씀들인데, 경전들은 부처님께서 돌아가시고 수백 년이 지나서 편집된 것이므로 더러 잘못된 것이 없나 하는 의심이 생긴 것입니다. 설령 부처님이 살아 계시던 무렵에 편집되었다 하더라도 더러 잘못 듣거나 잘못 기록하여 오전誤傳 있을 수가 있거늘, 하물며 부처님이 돌아가신 수백 뒤에 편집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읍니다. 그런데도 그것을 틀림없는 부처님의 사상이라고 고집하는 것은 억지스럽지 않은가 하는 의혹이 얼마든지 일어날 있읍니다.

학자들이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결과, 한때 대승불교는 부처님의 직설直說 아니라는 말이 나돌게 되었읍니다. 이름하여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 대두된 것입니다. 그리하여 대신에 부처님이 돌아가시고 나서 성립된 경전인 아함경에서 부처님의 사상을 찾으려고 하였읍니다.과연 아함경을 열심히 연구해보니 처음에는 견전에서 표현된 부처님의 사상은 대승불교의 사상과는 완전히 거리가 듯이 보였읍니다. 아함경을 부처님의 사상 그대로라고 한다면, 대승불교는 아함경에서 발달된 사상일 뿐이지 실제의 부처님 사상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아믛든 뒤에 연구를 거둡하다가 보니 아함경에도 부처님 친설親說 아닌 것이 있음이 드러나게 되었읍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이름난 권위자들이 더욱 깊이 연구를 결과, 원시 경전인 팔리어 경전 가운대서 무처님께서 직접 설한 것일라는 증거를 가진 초기의 법문이 많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읍니다.그것은 마치 무더기 속에서 금이나 옥을 발견해낸 것과 같았읍니다. 아함경 중에서도 잡아함경같은데에 들어 있는 어떤 것은, 당시 인도의 여러 사상을 종합해 볼때, 틀림없는 부처님의 사상이라고 단정할 있었읍니다. 가장 믿을 만한 것은 무처님의 생활을 기록해 놓은 율장에서 그에 대한좋은 자료를 얻을 있었던 것입니다. 중에서도 초전법륜初轉法輪 부처님께서 맨처음으로 법문하신 것인데, 께달음을 성취하고 중생을 교화하는 동시에 교단을 조직하신 출발점부터 기록해놓은 것입니다.

부천님께서는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成道하신뒤에 혼자만 좋은 법을 알고 있을 수는 없기에 법을 다른 사람에게도 전하기로 마음먹엇읍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이좋은 법을 모든 사람에게 전하여서 그들도 함께 깨닫고 자신과 같이 자유자재自由自在 영원한 행복을 바라신 것입니다.그리하여 부처님께서 수행하던 중에 고행이 결코 아님을 알고 방향을 전환하였을 때에 부처님을 떠나버린 다섯 비구를 맨처음 찾아갔읍니다.

처음에 그들 다섯 비구는, 부처님이 타락하였다고 생각하여,자기들을 찾아오고 있는 부처님에게 인사도 하지 말자고 약속 하였읍니다.그러나 정작 부처님이 자기들에게 가까이 오자, 스스로 약속을 잊어버리고, 대법大法 성취한 만덕종사萬德宗師이신 부처님께 오체투지五體投地, 온몸을 땅바닥에 대고 머리가 으깨지도록 절을 하였읍니다.그리고는 부처님을 자리에 모셔놓고 어찌하여 우리를 잊지 않고 찾아오셨읍니까?” 하고 물었읍니다.부처님께서는 너회들을 위해 찾아 것이 아니라 법을 위해서 찾아왔다 말씀하시면서,대각大覺 성취하신 것을 먼저 그들에게 소개한다고 말씀하셨읍니다.그들이 다시 무엇을 어떻게 성취하셨는지를 물으니, 부처님께서는 중도中道 정등갓正等覺하였다 제일성第一聲 토하셨읍니다.

중도中道, 이것이 불교의 근본사상입니다. 중도라는 것은 모순이 융합되는 것을 말하며,모순이 융합된 세계를 중도의 세계라 합니다.

세상의 이치는 모두 상대적相對的으로 이루어져 있읍니다. 상대, 상대, 상대, 상대 , 아렇듯 모든 것이 서로 상대적인 대립을 이루고 있읍니다. 다시알해서 현실 세계는 전체가 상대로 이루워져 있읍니다. 그러므로 자연 이현실 세계에서는 모순과 투쟁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상대의 세계 변의 세계에서는 전체가 모순 덩어리인 동시에 투쟁인 것입니다. 결과 세계는 불행에 떻어지고 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불행에서 벗어나고 투쟁을 피하려면 근본적으로 양변, 상대에서 생기는 모순을 모두 버려야 합니다. 이를테면 서로 옳으니 그른니 하는 시비是非 버리면 그것이 바로 극락세계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 세계는 이른바 사바고해娑婆苦海 까닭에 변을 여의지 못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중도를 정등각하였다 선언하신 것은 바로 모든 양변을 버렸다는 말씀입니다. 나고 죽는 것도 버리고, 있고 없는 것도 버리고, 약하고 착한 것도 버리고, 옳고 그른 것도 모두 버려야 합니다. 그렇게 모두 버리면 시도 아니고 비도아니고, 선도아니고 악도아니고, 유도아니고 도아닌 절대의 세계가 열리는 것입니다. 이렇듯 상대의 모순을 모두 버리고 절대의 세계를 성취하는 것이 바로 해탈이며 대자유 성불인 것입니다.

모든 대립 가운데서도, 철학적으로 보면, 가장 대립입니다. 중도는 있음 아니고 없음, 아닙니다. 이것을 비유비무非有非無라고하니, 있음과 없음을 모두 떠난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다시 유와 무가 살아납니다. 역유역무亦有亦無. 뜻을 새겨 보면 이러합니다. 3 차원의 상대적인 유와 무는 완전히 없어지고 4 차원에 가서 서로 통하는 유무가 새로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유무가 서로 합해집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아렇게 말씀하셨읍니다.

무가 합하는 까닭에 중도라 이름한다 有無合故名爲中道.”

불생불멸의 원리에서 보면 모든 것이 서로서로 생멸이없고, 모든 것이 사로사로 융합하지 않을래야 않을 없고, 모든 것이 무애자재하지 않을 래야 않을 수가 없읍니다. 그래서 있는 것이 없는 것이고, 없는 것이 있는 것이라 유즉시무有卽是無, 무즉시유無即是有 말씀하신 것입니다.부처님께서 이와같은 내용을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닌 그들은 짧은 시일 안에 깨달음을 성취하였읍니다. 이것이 유명한 초전법륜입니다. 이렇듯이 초전법륜의 근본 골자는 중도에 있읍니다 괴로웁과 즐거움을 완전히 버리고, 옳음과 그름을 버리고, 있음과 없음을 버린다고 해서 아무 것도 없는 허공이 되는 것이 나님니다. 그것은 마치 구름이 완전히 걷히면 밝은 해가 나오는 같아서, 거기에는 광명이 있을 입니다. 유와 무를 완전히 버리면 그와 동시에 유와 무가 서로 통하는 세계, , 융통한 세계가 벌어지는 것입니다.

눈을 감은 세계에서는 있고 없음이 분명히 상대가 되어 존재하지만, 눈을 뜨고 보면 유와 , , 있고 없음이 완전히 없어지는 동시에 유와 무가 완전히 융합해서 통하게 됩니다.

이렇듯 중도의 세계란 - 무의 상대를 버리는 동시에 양변응 융합하는 중도의 세계가 바로 모든 불교의 근본 사상이며, 그리고 대승불교 사상도 여기에 입각해 있읍니다.

하나가 전체이고

전체가 하나이다.

一即一切

一切即一

화엄경에서 말하는 사상도 중도에서 나온 것입니다. 하니와 일체라는 것은 양변입니다. 하나와 일체를 버리면 그것이 바로 중도가 되는 것입이다. 그렇게 되면 하나가 일체이고 일체가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화엄사상이며 불교 전체의 사상인 것입니다. 법화경이나 화엄경에서 제법실상諸法實相이나 원융무애圓融無碍 일진법계一盡法界 말한 것은 모두 중도에 입각해 있는 사상입니다.

대승견전이 시대적으로 보아서 부처님이 돌아가신지 뒤에 성문화된 것이라고 하여도 근본은 부처님의 사상 그대로인 것입니다. 대승경전이 부처님사상이 아니라거나 부처님 사상을 발전 시켰다고 주장할 수는 없읍니다. 부처님의 근본 사상이 중도에 있는 것과 같이, 화엄과 법화 또한 중도를 그대로 전개시킨 것이니, 그것이 곧 초전법륜이 되는 것입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